SM 엔터테인먼트 이성수 : 지금의 케이팝이 있게 한 가설과 검증들

2025.10.29

음악이 문화 산업의 기반이라는 생각으로 보고 듣고 읽고 쓰는 사람. 네이버, 매거진t, 메이크어스 등에서 일했으며, 다양한 매체에 칼럼과 리뷰를 썼다. 티빙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케이팝 제너레이션>의 제작자이자 『마음의 비즈니스』, 『관점을 파는 일』의 저자. 2020년부터 음악산업평론가이자 콘텐츠IP 전략가로서 뉴스레터 ‘차우진의 엔터문화연구소’를 발행하고 있다.

트렌드는 배우는 것이 아니라 즐기는 것이라고 믿는 주니어 마케터. 소비자의 입장에서 늘 패션·뷰티·콘텐츠의 새로운 브랜드를 찾아다닌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도 가장 아이디어를 많이 내는 멤버다.


롱블랙 프렌즈 C 

저 믿기지 않는 영상을 봤어요. 미국 아기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주제곡인 ‘골든Golden’으로 옹알이를 하더라니까요? ‘케데헌’은 시청수 3억 뷰로, 넷플릭스 역사상 최다 시청을 기록했대요. 케이팝이 이렇게 세계적인 음악이 되다니!

그 시작을 거슬러 올라가면 SM 엔터테인먼트(이하 SM엔터)가 있어요. 주먹구구식으로 돌아가던 연예계에 ‘아이돌 시스템’을 만든 회사죠. 1996년 최초의 ‘기획형 아이돌’인 H.O.T.가 데뷔하면서, 본격 ‘1세대 아이돌’이 등장했다고 평가 받거든요.

이 케이팝의 30년 역사를 지켜봐 온 사람이 있어요. 이성수 SM CAO(Cheif A&R Officer)예요. 1998년 18살 때 SM엔터에 인턴으로 입사해, 2015년엔 프로듀싱 본부장, 2020년엔 대표까지 올랐어요.

케이팝이 글로벌 대세가 되기까지,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케이팝 전문가인 차우진 대표와 함께 이성수 SM CAO를 만났어요.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대표

‘감’. 엔터테인먼트 회사하면 떠오르는 단어입니다. 어떤 이들은 “케이팝의 인기는 우연이며, 곧 사그라들 것이다”라고 말해요. 하지만 이성수 SM엔터 CAO는 이렇게 말합니다.

“케이팝의 성공은 30년 전, 이미 준비돼 있었습니다.”

이 산업에도 나름의 가설과 그 검증의 궤적이 있어 왔다는 겁니다. 올해 30주년을 맞은 SM엔터는 1995년부터 글로벌 시장을 바라봤습니다. 지금의 케이팝은 그 초석 위에 하나씩 쌓아 올려진 전당이고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